척수는 뇌와 함께 중추신경계에 속하며 뇌와 말초신경의 중간다리 역할을 하고 경막강내에 위치하여 척추관의 보호를 받습니다.
또한 medulla oblongata와 맞닿아 있으면서 l-spine 1~2 Level까지 위치합니다
L-SPINE 1~2 Level에서 끝나는 척수의 원위부분은 깔대기 모양으로 보이고 이 부분을 conus medularis라고 합니다
이 conus medullaris 이하 부분에서는 척수는 관찰되지 않고 신경근들만 모여서 관찰되는데 그 모양이 말의 꼬리같다고 하여 cauda equina 또는 horse’s tail라고 부릅니다.
다음으로 신경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번 cervical nerve에서 7번 cervical nerve는 같은번호 c-spine의 pedicle 위를 통해 빠져 나갑니다
예를들어 6번 cervical nerve는 같은 번호인 6번 c-spine pedicle의 위쪽인 5번과 6번 경추 사이의 신경공을 통해 빠져 나갑니다.
그리고 8번 c-spine은 없지만 cervical nerve의 경우는 8번까지 있으며 이 8번 cervical nerve는 7번 c-spine의 pedicle 아래인 c7~T1 level 사이의 신경공을 통해 빠져 나가고
1번 thoracic nerve부터 sacral nerve는 같은 번호의 척추pedicle 아래 신경공으로 빠져나갑니다.
T2강조영상 : 지방성 골수, 종양 모두 고신호강도로 보이는 경우가 많아 척수신경 압박, 경막내 병변등을 보는데 유용
T1강조영상에서 FS없이 ENHANCE를 하게 되면 lesion도 하얗게 보이고 fat도 하얗게 보입니다. 둘다 하얗게 보이면 어느부위가 lesion인지 확실하게 표현되지 않기 때문에 지방조직을 억제하는
FAT saturation 기법을 이용하여 이상부위를 두드러지게 표현하는 기법입니다.
일반 T2영상에선 물신호가 밝게 나오고 지방신호가 상대적으로 어둡게 나오는데 T2/FS은 지방신호마저 완전히 억제하여 물신호만을 극대화시킨영상
이러한 t2/fs영상은 edema 유무 파악하는데 굉장히 유용한 시퀀스입니다.
퇴행성 질환에는 크게 2가지가 있는데 HIVD와 spinal stenosis가 있습니다
먼저 추간판 탈출증부터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l-spine의 퇴행성질환에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퇴행성 질환에는 크게 2가지가 있는데 HIVD와 spinal stenosis가 있습니다
먼저 추간판 탈출증부터 보도록 하겠습니다.
추간판이라는 것은 쉽게 말해서 허리 뼈와 뼈 사이에 있는 충격완충물질입니다. 이 추간판은 속에는 수핵이라는 물 성분이 들어있고 그 수핵을 딱딱한 조직인 섬유륜이 감싸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섬유륜이 이 수핵을 감싸고 있기 때문에 수핵이 밖으로 나오지 못하는데
중력에 의한 압력이나 허리를 돌릴 때 발생하는 회전력등에 의해 이 섬유륜이 압력을 받아 (효과)수핵이 섬유륜을 뚫고 나와 척추신경을 압박하는 것을 추간판탈출증이라고 합니다
그림으로 설명드리자면
이렇게 정상적인 disc를 25%씩 4개의 구역으로 나누었을때 추간판의 변위가 50%이내 이면 추간판 탈출증이라고 합니다
이 추간판탈출증은 다시 25%미만일때와 25%에서 50% 일때로 나뉘어 집니다. 그림처럼 추간판이 변위된 범위가 25% 미만일경우는 focal herniation
25%~50% 사이 일때는 broad-based herniation이라 합니다. MR영상을 보면(다음장)
왼쪽영상에서 disc를 4등분했을때 탈출된 부분이 25%미만인 focal herniation 영상이구요
오른쪽영상은 25%에서 50% 사이로 탈출된 broad based herniation 영상입니다.
그림과 같이 추간판의 변위가 50% 이상일때는 추간판탈출증이라 하지 않고 bulging이라 표현하며 그림처럼 추간판의 변위가 대칭적일 경우 symmetric bulging이라 하고
위 그림처럼 비대칭적일 경우 Asymmetric bulging이라 합니다. 이 bulging은 추간판 탈출증에 속하지 않습니다. MR영상을 보면(다음장)
다음은 디스크 탈출정도를 나타내는 protrusion과 extrusion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Herniation의 base line (B line)이 depth D line 보다 길경우 이를 protrusion이라 하구요
Protusion은 디스크가 돌출만 되었지 흘러내리거나 하진 않은 경우입니다.
Herniation의 base line (B line)이 depth line (D line) 보다 짧을경우 이를 Extrusion이라 하구요
Sag영상에서 그림과같이 disc가 위 아래 어느방향으로든 migration(이동)이 있어도 extrusion이라고 합니다.
즉 쉽게 말해서 prtrusion은 섬유륜 일부가 찢어져 중심부분의 수핵이 밀려나왔지만 섬유륜의 테두리가 찢어지지 않아 수핵이 섬유륜 내에 남아 있는 경우이구요
Extrusuion은 섬유륜이 완전히 찢어져 수핵이 척추강이나 추간공으로 밀려나온 경우를 말합니다.
Ax영상에서 보면 protrusion은 base line이 Depth line보다 길게보이고 extrusion은 base line이 depth line보다 짧게 보이고
sag 영상을 보면 prturusion은 디스크가 돌출되었지만 흘러내리지는 않았고 우측 extrusion영상은 아래방향으로 디스크가 흘러내리는 영상입니다.
Central canal zone은 정중앙으로 탈출된거고 lt, rt central zone은 중앙에서 약간 편측으로 치우친것
Subarticular zone은 lateral recess, facet joint쪽으로 탈출된것이고
Foraminal zone은 신경공쪽 으로 탈출된것
Extra-framinal zone은 신경공의 바깥쪽으로 탈출된것입니다.
Central canal zone은 정중앙으로 탈출된거고 lt, rt central zone은 중앙에서 약간 편측으로 치우친것
Subarticular zone은 lateral recess, facet joint쪽으로 탈출된것이고
Foraminal zone은 신경공쪽 으로 탈출된것
Extra-framinal zone은 신경공의 바깥쪽으로 탈출된것입니다.
그림을 보시다시피 L-spine 4/5번 신경공으로 요추4번신경이 빠져나옵니다. 하지만 4/5번 level에서 요추 5번신경은 이미 경막강에서 빠져나와서 경막외공간에 위치합니다.
이 요추 5번 신경은 5번 l-spine의 pedicle 안쪽에 위치하면서 아래로 내려가 L5/S1 신경공을 통해 빠져나갑니다.
왼쪽 그림에서 빨간색으로 보이는 sacral,coccyx신경들은 아직 경막강을 빠져나오지 않은 신경들이고 보라색으로 보이는 lumbar신경들은 conus medularis 바로 위에서 일찌감치 경막강을 빠져나온 신경들입니다.
아까 설명 드렸다시피 T-SPINE과 L-spine의 신경들은 같은 번호의 pedicle아래로 빠져나간다고 설명 드렸습니다 그림에서 보면 4번 lumbar신경은 4번 L-spine의 pedicle 밑으로 빠져나가고
5번 lumbar 신경은 더 쭉 내려가서 L-5 spine의 pedicle 밑으로 빠져나가는걸 볼수 있습니다 이 L4~5 LEVEL을 T1/AX면으로 잘라서 보면
이 빨간색 신경들은 아직 경막강을 빠져나오지 않았기때문에 경막강내 CSF의 신호에 묻혀 잘 관찰되지 않지만 일찌감치 spinal Cord에서 빠져나온 Lspine 신경들은 영상에서 잘 관찰되는걸 확인할수 있습니다.
만약 추간판이 이 central zone과 subarticular zone으로 탈출되면 lumar 5번신경이 눌리게 되고 foraminal zone과 extraforaminal zone으로 탈출되면 4번신경이 눌리게 됩니다
left central zone과 left subarticular zone에 걸쳐 herniation이 생겼고 이로 인해 L5 신경이 압박을 받는 영상입니다.
foraminal zone과 extraforaminal zone에 걸쳐 herniation이 생겼고 이로 인해 L4 신경이 압박을 받는 영상입니다.
foraminal zone과 extraforaminal zone에 걸쳐 herniation이 생겼고 이로 인해 L4 신경이 압박을 받는 영상입니다.
foraminal zone과 extraforaminal zone에 걸쳐 herniation이 생겼고 이로 인해 L4 신경이 압박을 받는 영상입니다.
다음은 spinal stenosis 척추관 협착증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척추관 협착증은 신경다발이 지나가는 공간에 협착이 발생하여 신경을 압박하는 현상인데요
이는 오랜기간에걸친 퇴행으로 인해 척추관이 비정상적으로 두꺼워져 신경근을 누르면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척추관협착증은 대게 오랜 기간에 걸친 퇴행 변화로써 추간판이 변위되어서 척추관이 압박을 받거나 우측 그림에 보이는 황색인대 비후, 뼈 곁돌기라고 부르는 뼈가 자라나는 현상에 의해서 척추관이 압박 받는걸 말합니다 근데 이 협착이 중심관에 발생하면 central canal stenosis, 신경이 지나가는 신경공에 발생하면 foraminal stenosis이라고 부릅니다.
이 central canal stenosis와 foraminal stenosis는 그 각각의 협착 정도에따라 grade를 나눌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 설명해보겠습니다.
Centrlal canal stenosis (중심관협착증)은 Cauda equina 앞 CSF 소실과 CAUDA EQUINA 신경근 사이사이의 CSF 소실 유무를 기준으로 grade를 나눕니다.
그림과 같이 csf가 잘 보이고 신경근들이 잘 분리되어 있으면 normal, 2번째 그림처럼 cauda equina 앞 csf의 소실이 보이지만 신경근들이 잘 분리되어 보이면 mild(경증)central canal stenosis
3번째 그림처럼 CSF소실이 보이면서 신경근들이 일부 뭉쳐져 보이면 moderate(중등도) stenosis , csf소실이 보이면서 모든 신경근들이 뭉쳐져서 하나의 bundle로 보이면 severe(중증)stenosis로 구분 짓습니다 다음은 각 MR영상과 비교하여 보도록 하겠습니다.
위 영상과같이 T2/AX영상에서 csf가 잘 보이고 신경근들이 잘 분리되어 있으면 normal
두번째로 Mild (경증) 영상입니다. L spine 1~2번 disc의 ax영상을 보면 신경근들 앞에 csf가 소실되어 보이지만 신경근들은 잘 분리되어 보이므로 mild 단계이구요
그림처럼 cauda equina 앞 csf의 소실이 보이지만 신경근들이 잘 분리되어 보이면 mild(경증)central canal stenosisild입니다
Csf의 소실이 보이면서 일부 신경근들이 뭉쳐져 보이는 단계로 moderate단계입니다
3번째 그림처럼 CSF소실이 보이면서 신경근들이 일부 뭉쳐져 보이면 moderate(중등도) stenosis
Csf가 완전히 소실되었고 신경근들도 완전히 뭉쳐져 하나의 bundle로 보이는 severe 단계입니다.
csf소실이 보이면서 모든 신경근들이 뭉쳐져서 하나의 bundle로 보이면 severe(중증)stenosis로 구분 짓습니다
Nerve root 주위 지방조직 소실 정도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지방 조직의 소실이 같이 관찰될 경우 foraminal stenosis가 있다고 진단하며 하나의 방향만 nerve root 주위 지방조직의 소실이 있으면 grade 1.
두 방향 이상에서 nerve root 주위 지방조직의 소실이 있으면 grade 2..로 보며 지방조직이 완전히 소실되지 않더라도 nerve root가 압박을 받아 납작하게 모양이 변한 경우는 grade 3으로 나눕니다.
다음은 MR 영상에서 각각의 GRADE별 영상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spine 척추' 카테고리의 다른 글
Brachial Plexus 란? 상완신경총 이란? (0) | 2019.12.01 |
---|---|
척추만곡증2.Lodorsis (척추 전만증)kyphosis (척추 후만증) (0) | 2019.12.01 |
척추만곡증1. scoliosis (척추 측만증 ) (0) | 2019.12.01 |
HIVD(추간판 탈출증)-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0) | 2019.11.30 |